IE(인터넷 익스플로러) 점유율이 유독 한국에서만 90% 이상이다. 외국에서는 IE 점유율이 하루가 멀다하고 낮아지는 뉴스가 심심찮게 보이는데, 이건 그야말로 외국만의 얘기다. 내가 운영하는 하루 순방문자 4만명 정도가 되는 사이트의 자체 통계를 보면 IE 점유율이 98%나 된다. 아마 다른 국내 사이트들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런데 왜 IE 점유율이 높을까? 양키들은 IE 점유율이 60%대로 떨어지기도 한다는데, 왜 한국에서는 그리 높을까? 그것은 정부가 주도하는 MS 강매질과 그에 편승하는 쓰레기 인터넷 기업들 덕분이다. 한국에서 IE를 써야만 하는, 쓸 수 밖에 없는 이유는 크게 다음과 같다. - 인터넷 뱅킹 - 쇼핑몰 결제 - 정부 관련 사이트 이용 - 게임 사이트 이용 - 웹하드..
뭐 찌라시들의 헛소리가 어제, 오늘 일은 아니지만, 아래와 같은 기사가 2008년 4월 7일(화)자 전자신문 1면에 나와 있었다는 것이 황당해 한 마디 하려고 한다. [사설] 'SW 차이나 공습'에 신속한 대처를 - 전자신문 기사 요약 중국산 소프트웨어인 라이징 안티바이러스, 킹소프트KAV2009, 킹소프트 오피스, 맥손 브라우저 등이 무료라는 강점을 내세워 한국 시장을 파고들고 있다. 그러니 우리 SW 산업 안방을 지키기 위해 대책을 세우자. 그런데, 소프트웨어쪽에 평소 관심이 있었던 필자가 듣기에는 대부분 생소한 이름들이다. 혹시 나만 모르고 해외에서는 이미 유명해서 한국 사람들도 꽤나 쓰는 프로그램인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조사해 봤다. 라이징 안티바이러스(Rising Antivirus) ..
- Total
- Today
- Yesterday
- 쥐새끼
- 트위터
- 코스트코
- 스마트폰
- 소프트웨어
- 고양이
- 아이폰
- 2mb
- IE8
- IOS
- 일본여행
- 구글
- 웹브라우저
- 애플
- 인터넷 익스플로러
- 모바일
- IE6
- 웹표준
- 오크우드
- 액티브x
- 안드로이드
- 일본
- 도쿄
- 네이트온
- 아이패드
- ie
- adobe
- 네이버
- html5
- cs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